작고, 작은 × 우리는 모두 중력을 견뎌

Exhibition Details 

작고, 작은 × 우리는 모두 중력을 견뎌 

Oct 14 - Nov 13,2022 


아쉬LAB high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사관로6가길 28-12)

13:00 - 18:00 월, 화 휴관 


Artists 

김남훈, 황아일


글·디자인 

땡땡콜렉티브 

[별 하나가 떨어지고, 온 동네가 빛났다.]


한남동 재개발 지구의 골목길에는 항상 쓰레기가 쌓여 있다. 쓰레기는 좁디좁은 골목에도 사람이 생활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그러나 생활의 흔적은 악취를 풍기는 눈엣가시로 변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아무도 쉽게 손대지 못하도록 썩어간다. 쓰레기를 거둬 가는 환경미화원조차 가져가지 않는 이들. 누구에게도 관심받지 못하는 ‘이것’에 김남훈과 황아일은 눈길이 끌린다. 


2층에 전시된 〈관측된 오브제들_한남(Observed Objects_hannam)〉은 재료로 쓰이지 않을 법한 길 위에서 수집한 작은 사물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 이 사물은 한남동을 포함한 여러 장소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시장에 옮겨진 사물은 오브제로 기능한다. 한남동 재개발 지구에 위치한 아쉬LAB high에서 작품이 공간과 어떻게 관계 맺어질 수 있을까? 작업은 버려지거나 잃어버린 누군가의 사물 그리고 미세한 파편들을 관찰하고 수집한 시간과 장소의 기록이며, 분류와 접촉의 복합적인 관계 맺음이 공간과 합의하는 듯하다. 3층 테라스에 설치된 〈모스_바다 v2.0(Morse code_ocean v2.0)〉는 한남동 언덕에서 건너편 멀리 있는 불빛 속 익명에 보내는 모스 신호이다. 김남훈이 쓴 시는 불빛이 되어 텔레스코픽 마스트에 의해 높게 올라가 깜박이는 한남동과의 대화이기도 하다.


황아일은 한남동에서 ‘우리는 모두 중력을 견뎌’라는 문구를 발견하였다. 이 문구는 한남동 재개발 지구의 골목길에 위치한 것으로, 작가는 공간과 문구의 모순적 배치에 주목한다. 황아일의 컬러 투명 아크릴판을 사용한 〈의심 조각(Doubt sculpture)〉은, 쓰고 남은 자투리 조각들이 가진 우연한 형태의 만남으로서 무게중심의 작은 흐트러짐으로도 중력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질 태세이며 새로운 형태의 쌓음을 예기한다. 그리고 〈재건축 V(Reconstruction V)〉와 〈검은 숲 II(Black forest II)〉의 작업에서는 라텍스 페인트와 시트지 같은 유동적인 재료를 사용해 공간과 조각의 경계를 지워가며 한남동의 습도와 공기, 무게를 응집시킨다. 


결국 오브제는 중력을 견디지 못하고, 흘러내릴 것이다. 지금도 부식되고 침체하여 소멸 상태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작고, 작은’ 물건이라도 소중하게 다루어진다면, ‘중력을 견뎌’ 삶을 지탱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군가의 손길이 닿아 미세한 정도의 중력을 견딘다면, 그 물건은 쓸모 있는 삶을 택할 기회가 아닐까. 김남훈, 황아일이 발견하고 선택한 오브제 또한 그럴 것이다. 유한한 생일지라도 짧은 순간이나마 의미를 다 할 수 있다는 것. 그렇게 소중한 순간을 지속하여 남은 삶을 다할 수 있겠다. 


글. 이아현

floating-button-img